자전거 사망 막을수는 없을까? (1 원인 편)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0807231805115&code=940202

위 경향 신문의 원문을 보고 글을 써야 겠다 싶어서 글을 씁니다.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빌면서 이 글을 씁니다.

일단 신문 기사의 제목이 마음에 들지 않는데(마치 자전거가 모든 원인을 제공했다는 듯한 투로 자전거 그만 타라 라는 느낌이 들어서 그럽니다), 뭐 어찌되었든, 자전거로 인한 심근 경색증 으로 인해 사망한 것으로 보인다고 했으니, "의학적으로 안전하게 자전거를 탔으면 좋겠다"는 마음에 이 글을 쓰고자 합니다.

자전거 타는 것, 요새 고유가라서 많이 하시죠? 그 것 말고도 다양한 운동을 즐기는 레저인들이 많습니다. 저는 약 5년 전 부터 철인 3종 경기를 시작으로 본격적으로 자전거를 접했다가 바쁘다는 핑계로 잠시 접어 두었다가, 최근 취미생활로 다시 타기 시작했습니다. 요새는 실내 자전거로 완전 바꾸었죠. 스피닝이라고도 하죠. ^^

사실은 체중 감량의 목적이 가장 크긴합니다만 ^-^ 생각보다 잘 안 빠지네요!!! 

어쨋든, 심심찮게,달리기 하던 중 40대 사망, 갑작스런 운동으로 사망, 그리고 이번 40대 자전거 타다가 사망 이란 기사 까지.

모 두들 그 사망의 원인을 갑작스런 운동으로 인한 심장 마비(사실 심장 마비란 표현은 의학적으로는 잘못된 표현 중의 하나입니다만, 다들 그렇게 사용하니 쓴 것입니다. 후에 기회가 된다면 그 것에 대한 글을 쓰도록 하죠)가 원인입니다.

실제적으로 갑작스러운 운동은 사망으로 연결될 수는 있습니다. 

그리고 그 원인은 대부분 심혈관계 질환에 기인합니다. 

( 이렇게 사망하는 사람의 대부분은 
법의학 부검 통계상 기저 질환이 있을 가망성 높습니다..)

의학적으로는 Shock(이 것 역시 의학적 사망 진단은 아닙니다)으로 인해 사망했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의학 전문 용어인 Shock(의학에서 쇼크는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놀람의 표현인 쇼크와 전혀 다릅니다)는 잠시 접어 두고, 

"어떻게 해서 사망할까" 에 대해 일단 설명 드리고, 그 원인에 대한 예방 수칙을 이야기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
이 글은 원문 기사와 전혀 상관 없음을 알려 드립니다. 다시 말해, 사망한 고인에 대한 이야기는 아닙니다.)

사람은 사망에 이르려면, 체내에서 요구하는 적절한 혈액 공급이 중단되어야 합니다. 

, 

심장이 뛰지 않거나(심인성 쇼크), 

혈액(정확히 이야기 하면 체내 수분 물질)이 과다하게 빠져 나가는 경우(저혈량성 쇼크)

가 운동으로 인해 야기될 수 있습니다.

첫번째의 경우인 심장이 제대로 뛰지 못하는 경우 -

과격한 운동을 갑자기 한다거나, 

고지혈증,당뇨와 같은 지병이 있어 혈관 자체가 막혀 있는데 운동을 하는 경우, 

무리하게, 지속적으로 운동을 해서 심장이 탈진하는 경우 

그 외에 자신도 모르는 심장에 문제가 있는 경우
(
의학적 정기검진을 받지 않으면 위의 상황을 예측 못할 수 도 있습니다.)



에 의해 운동을 하다가 갑작스러운 사망에 이를 수 있습니다.


두번째의 경우는 조금 더 설명이 필요합니다. 설명을 하자면 이렇습니다. 

체내의 혈액이 과다하게 빠져 나간다고 하면, 단순히 교통사고나 칼에 찔려서 피를 흘리는 것만 생각하는데, 그게 아니라, 땀도 잠재적은 혈액의 공급원이 될수 있었기에 수분 손실도 혈액이 과다하게 빠지는 것과 비슷한 결과를 야기합니다.

땀을 많이 흘리는 경우, 

전날 밤 과다한 음주로 인해, 자신도 모르게 수분이 손실 되어 있는 경우
(
알콜의 경우에 이뇨 작용이 있습니다.)

평상시  혈압을 가지고 있는 경우

수혈을 한 경우
 (
실제 수혈 후 바로 운동하는 경우는 잘 없겠지만, 실제 이런 경우가 교과서에 등재되기도 합니다)


그 외 자신도 모르게 수분 손실이 있는 경우 
(
예를 들면 단순 감기의 경우에도 수분 손실이 꽤 큽니다.)

에 의해 갑작스러운 사망에 이를 수도 있습니다만,
 
첫번째 심장의 경우에 비해, 그 정도가 비교적 드물고, 갑작스럽다기 보다는 머리가 핑 도는 현기증을 먼저 느끼기에, 적절한 물만 마셔도 어느 정도 예방이 가능합니다.

위와 같은 두 경우가, 사실 제일 의학적으로 운동을 하다가 사망에 이를 수 있는 주요 원인이라 할 수 있습니다.

(
물론 자전거의 사망의 경우 첫째 원인은 교통 사고입니다. 따라서 예방-안전 수칙 준수가 중요!!)

결국, 위 두가지 원인에 대한 예방을 잘 한다면 비교적 안전하게 자전거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그러면 두가지에 대한 예방은 어떤 것일까요?

(
이쯤이면 스크롤에 대한 압박인데... 이쯤에서 그만 둬야 되는데, 얘기가 길어지네요...)

다음 글로 넘길까 합니다. ^-^


결론은

1.
심장 질환에 대한 원인으로 과격한 운동을 하면 사망에 이를 수 있다.

2.
혈액 혹은 수분 손실에 따른 결과로 운동 시 사망 또는 현기증을 느낄 수 있다.

입니다.


예전에 썼던 글인데, 요새 주변에서 운동을 하시다가, 본의 아니게 더 힘들어지는 사람이 생각보다 많습니다. 항상 운동 할 때 조심히 하세요 ^^

일상 생활에서 알게 모르게 연관된 세계화에 대해서는 앞선 포스팅에서 말씀 드렸습니다.

그런 눈으로 일상 생활에서 언급한 사업들을 분류해서 다시 바라 보도록 하겠습니다.

1. 커피 산업  (궁극적으로 식자재, 문화와 연계된 기호 식품 비지니스)

우리나라를 포함해 선진국에서 커피 원두를 생산하는 것은 비교적 많은 인건비와 재배를 위한 특수한 환경 때문에, 원두 생산의 관점에서 본다면, 남미나 아프리카에 비해서 비교우위가 전혀 없습니다. 그렇지만, 커피를 소비재로 소비하는 나라로 관점을 돌린다면 기회는 많습니다. 이윤이 많이 남는 커피 소비는 아무래도 선진국이 많습니다. 우리는 그런 소비할 수 있는 문화 코드를 가지고 있죠.

이런 비지니스 기회를 단순히 바라본다면, 여러분들이 잘 아는 스타벅스나 카페베네와 같은 프렌차이즈 카페일 것입니다. 적절한 감성과 여가 시간을 녹여낼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고, 소비자들은 그 감성과 커피를 구입하는 것이지요. 

비지니스를 크게 할 것이라면, 프렌차이즈를 제공하는 업체로 마케팅과 브랜드 인지도를 만들면 될 것이고, 작게 한다면 로컬을 대상으로 판매하면 되겠지요. 말처럼 쉽지는 않겠지만, 다른 분야로 적용할 수만 있다면 (커피 산업은 획기적인 패러다임 쉬프트가 없는 한, 이제 레드 오션으로 봐야할 듯 싶네요) 충분히 승산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또 다른 관점에서 접근하면, 커피를 수입해서 선진국에 수출하는 무역업입니다. 좋은 커피를 발굴하고 그 걸 수입해서 적절한 판매처를 구해서 판매하는 것. 본사를 수입국에 둬도 되고, 생산국에 둬도 될 것입니다. 아주 좋은 원두만 확보한다면 충분히 경쟁력 있는 사업이 가능할 것입니다.

또 하나는 커피 산업에 간접적으로 부가되는 서비스업입니다. 커피 만드는 일을 전문적으로 교육 해주는 커피 교실이나 바리스타 교육업 등이 그 예라 할 수 있겠네요. 그리고 그렇게 얻은 인지도를 토대로 음식료업에 진출해서 저변을 확대하는 브랜드를 만드는 것이 있을 수 있겠습니다. 태생적으로 수요가 그렇게 많지는 않겠지만, 생각해 볼 수 있는 비지니스 기회입니다. 

와인 역시 이 비지니스 범주 안에 들어갈 수 있겠다 하겠습니다. 와인 수출업, 그리고 아직까지 와인 프랜차이즈는 없네요. 아마도 로컬로서 술집 혹은 레스토랑에서 커피와는 다른 위상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그렇지 않을까 싶습니다.

모든 문화와 관련된 그리고 기호 식품과 관련된 비지니스 기회는 오히려 세계화 시장에서 충분히 승산이 있습니다. 예전에는 그냥 다방 커피만을 커피로 생각했지만, 지금 주변을 보면 정말 많은 커피 브랜드가 있지 않습니까? 세계 속에서 우리 나라에 녹여 낼 수 있는 기호 식품을 찾아 내고 마케팅할 수 있다면 충분히 우리 나라에서 통할 수 있을 것입니다. 

2. 전자 산업 (감성을 녹여내고 디자인을 입힌 전자 제품들)

컴퓨터나 대부분의 조립된 전자 제품들은 이제 인건비가 저렴하면서도 품질을 보장할 수 있는 나라로 많이 넘어갔죠. 

그럼 인건비가 비싼 나라들은 어떻게 살아 남았느냐 하면, 대부분 디자인과 화려한 마케팅, 그리고 특허 기반의 주요 기술 확보로 살아남아 있습니다. 사실상 부품을 만들어 내는 국가들은 이런 전자 제품을 구입할 여력이 거의 없기 때문에 시장 자체가 작죠. 그에 반해 선진국들은 제품을 만들어 내면 구입할 수요가 크기 때문에, 선진국에 이런 브랜드를 가진 전자 산업 업체들이 많죠. 현재 대부분의 주요 전자 제품은 브랜드만 남고 생산은 아웃소싱의 형태로 많이 진행되고 있죠. 

성공한 전자제품의 전략을 살펴 보면 대개 아래와 같은 전략을 취하더군요. 부품의 합이 될 그림을 그려 놓고, 그 그려진 그림에서 주요 기술들을 최대한 뽑아 냅니다. 그 뽑아낸 기술을 특허로 묶어 두고, 완제품을 만들어 내는 일을 아웃소싱으로 맡겨 버려서 최대한 인건비를 줄입니다. 여기서 핵심과 비핵심을 구분하는 일이 전적으로 기업의 역량이라 하겠습니다. 실제로 핵심 기술만 만들거나 판매하는 특허 괴물(patent troll - 사실 괴물이라고 불리긴 하지만 괴물은 아니죠)들도 있기 때문에 전략적으로 이런 방법을 취하는 것이 쉽기만은 않습니다. 

애플을 예로 들자면, 한 해에 하나의 제품(물론 제품 라인업은 여러 개 있긴 하지만, 한 해에 한 개 정도의 주력 상품을 출시한다고 보면 됩니다)을 출시하는데, 가만히 보면 거의 모든 것을 아웃소싱하고 있는 걸 알 수 있습니다. Design과 그 디자인을 지킬 수 있는 기술을 제외하면 모든 것이 아웃소싱이라 할 수 있을 정도로 대외 의존도(?)가 높습니다.(물론 그 핵심은 아무나 따라할 수 없겠죠)  

오죽하면 애플 역시 Designed by apple in California 이란 용어를 사용할까요. 개인적으로 이 용어는 마케팅적인 측면에서 생산과 디자인을 분리시켜서 포지셔닝한 아주 창의적인 접근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전자 산업이 글로벌화 되면서, 결국은 기술력보다 기술을 어떻게 조합하고 마케팅하느냐. 그리고 관련 생태계를 어떻게 만들어 내느냐 (이것도 따지고 보면 외연을 넓힌 마케팅이죠)에 기업의 생존이 판가름나게 되는 것이죠. 실제로 최근 불거진 애플과 삼성의 특허 싸움을 보시면 알 수 있습니다. 

글로벌한 전자 업체들이 괜히 디자인에 목숨거는 이유가 다 있습니다. 기능만 따진다면, 중국에서 생산된 아주 저렴한 제품들이 많이 있습니다. 소비자들이 원하는 것은 쿨하고 멋지면서 좋은 것입니다. 그러니 그 기준을 만족시키지 못한다면 전세계 기술의 아웃소싱 집합체인 중국과 비교해 이기기가 쉽지 않을 것입니다.

글로벌화 되는 세계 시장에서 삼성과 같은 급의 우리나라 기업이 등장하는 것은 현재 우리나라 생태계 상 어려워 보이긴 하지만, 도전할 만은 합니다. 다만, 핵심 기능이 무엇인지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아주 중요하겠죠. 

3. 소프트 웨어 

글로벌화 속에서 이건 정말 우리나라가 중점적으로 지향하면서 추구해야할 분야가 아닐까 개인적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하드웨어를 이쁘게 구성하는 것 역시 따지고 보면 소프트웨어이지요. (한국이라는 네트워크에 갖혀서 큰 기를 못 폈던 싸이월드를 보면서 정말 아쉬워 했습니다.)

OSX, Window, 그리고 모바일을 아우르는 android, iOS 등은 이제 쉽게 따라갈 수가 없습니다. 사실상 이제 게임의 룰을 바꾸는 것이 쉽지 않습니다. 그렇다면 그 게임에 맞추는 수밖에 없는데 그 역시 쉽지 않습니다. 

결국 소프트 웨어에서는 크게 두가지 전략을 취할 수밖에 없는데, 하나는 새로운 룰을 만드는 것이겠죠. 또 다른 하나는 현재 완성된 룰이 있는 게임에 뛰어드는 것이겠죠.  

OS라는 게임의 룰을 바꾸기에는 사실 너무 많이 와버렸죠. 하지만, 언제 어떻게 환경이 변화될지 모르게 때문에, 지금이라도 이 분야에 관심을 가질 필요는 있습니다. 그리고 생각보다 벽은 높지만, 일단 주도권을 가지면 룰을 바꿀 수가 있죠. 예를 들면 한-중-일 세 나라가 협의해서, 또는 특정 기업들이 연합 전선을 구축해서(안드로이드가 이 같은 형태이긴 하지만, 아무래도 구글 의존도가 높다보니..) 하나의 오픈된 OS를 만들어 공유해, 룰을 바꾸는 것도 하나의 방법일 수 있습니다. 다만 협력이 쉽지 않겠죠.(언어적, 지리적 한계 때문에) 

결국 그 룰에 맞춰서 사업을 할 수 밖에 없다면 한국이라는 곳은 한계가 있습니다.한국은 내수 시장이 작고, 아무리 성공한다 해도 전세계에 미치는 파급효과가 크지 않습니다. 아예 한글을 버리고 영어나 다른 내수 시장이 큰 언어로 시작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 생각합니다. 특히 미국 판권을 빠른 시기에 팔아서 로얄티를 받고 인지도를 높이는 마케팅을 하고, 다른 나라에서는 확보된 인지도를 토대로 마케팅을 하는 것 또한 전략적으로 고려되어야 합니다. 

개인이나 중소 기업의 입장에서는 빅 히트를 치는 소프트웨어 개발(안드로이드용이나 iOS용 앱)을 하면, 충분한 급의 매출이 나올 수 있고, 마켓에 올리는 순간 세계화가 진행되는 것과 다름이 없습니다. 물론 현지화는 전혀 다른 이야기이겠지만, 상대적으로 마케팅보다는 재미가 우선되는 게임 같은 경우는 충분히 경쟁력이 있습니다. 현재 카카오나 네이버의 line 같은 경우에는 아주 선전을 하고 있습니다만, 이 것 역시 앞으로 얼마나 현지화, 세계화를 하느냐가 관건이겠죠.

또한 OS라는 룰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그 룰을 통합하는 크로스 OS를 가진 서비스를 개척하는 것 또한 충분히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현재 사람들이 많이 이용하는 맥(OSX), PC(window), 리눅스, Android, iOS 그리고 그 외에 모든 범용 전자기기를 통합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이 등장한다면 충분히 시장 가능성이 있다고 봅니다. 서비스는 하나이되 어느 곳, 어떤 컴퓨터에서든 되는 소프트웨어라면 충분히 시장성이 있다고 봅니다. dropbox나 Evernote가 그런 기업이죠. 

물론 우리나라는 OS 편향성이 강하기 때문에 쉽지 않겠지만, 충분히 승부해 볼 만 합니다. 실용적인 측면에서 우리나라와 같이 소프트웨어 인력이 많지만, 다른 OS를 이용하는 사람이 적고(특히 윈도우가 대다수), 돈이 된다 싶으면 포털이 모든 것을 하려고 하는 한국 시장에서는 쉽게 성공한 서비스가 나오기 어렵겠죠. 그러니 오히려 애시당초 시작을 글로벌로 뛰어들면 오히려 성공 가능성이 더 크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참 슬픈 현실이긴 하죠. 


4. 과학 기반 비지니스

사실 이 분야는 소프트웨어와 비슷하긴 한데, 성질이 조금 다르고 소프트웨어와는 다를 관점으로 가능성이 큰 분야입니다. 특히 "특허" 라는 보호막을 제대로 활용한다면 충분히 성공 가능성이 큰 이야기입니다.

과학의 가장 큰 특징은 자연 현상을 이용한다는 것입니다. 즉, 과학 기술의 장점은 인간이 만든 언어, 문화, 인문 사회적인 모든 것을 배제하더라도, 재현이 가능하다는 점이겠지요. 자석은 전세계 어딜 가든 철을 당기는 성질을 가졌죠. 이건 언어가 다른 중국에 가도, 문화가 다른 아프리카에 가도 자석은 자석입니다.

바로 여기에서 과학 기반 비지니스의 강점이 드러납니다. 물론 모든 비지니스는 성공하려면 그 사회에 녹아 들어가야 하기 때문에, 이 장점을 완벽히 살리는 것은 쉽지 않겠지만, 어찌 되었든 그 기술이 가진 파급력과 재현성은 세계 어딜 가든 달라지지 않습니다.

따라서 과학 기반 비지니스는 기술만 확실하다면, 성공 가능성이 그 어느 것보다 높습니다. 특히 의과학 분야의 경우, 그 기술적 틀이 아주 폭넓게 적용되는 기초 분야부터 아주 세밀하게 적용가능한 (예를 들면 핀셋 끝부분의 구부러진 정도 같은 특허) 기술까지 모든부분에 걸쳐 기술을 파급시킬 수 있습니다.

또 하나의 예인 의약품 역시 인종이 달라도, 질병이 같다면, 그 효과 역시 비슷할 것입니다. (물론 현재 거론되고 있는 맞춤형 의약품은 논외로 하고요) 질환에 대한 치료의 한 방편인 수술 방법 역시, 질병이 비슷하다면, 적용되는 수술 기술도 큰 틀에서 벗어나지 않습니다. 

따라서 그 어느 것보다 과학 기반 비지니스는 기술이 확실하다는 가정하에, 전 세계 공통 적용 가능하다는 아주 큰 장점이 있습니다. 다만 앞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기술을 비지니스로 적용하는 것은 별개의 문제입니다. 따라서, 기술을 빠른 시일 안에 적절한 로컬 파트너에게 이전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5.음식 관련 사업

이건 두가지 방향에서 살펴 봐야 합니다. 하나는 우리의 제품(한식과 갈이)을 세계 속에서 녹여 내는 방향에서, 그리고 또 하나는 세계 제품을 우리 안에서 녹여내고 그 것을 세계속에 판매하는 글로컬리제이션(Glocalization)의 방향에서 접근해야 할 듯 합니다.

정말 한식이 세계적인 음식이 되려면 국가적으로 홍보나 지원이 필요하다고 생각은 합니다. 물론 현재 일부 시행하고는 있지만, 일식이나, 중식, 이태리 파스타처럼 퍼지려면, 일단 맛있게 먹어본 사람들이 많아야 합니다. 그런데, 한식은 사실상 먹어본 사람이 흔하지 않죠.

개인적인 생각이긴 하지만, 현재의 국가적 홍보는 한식의 우수성, 명품성에 치우쳐서 홍보하는 듯 해서, 마케팅 포지셔닝이 잘못되었는게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합니다. 물론 어떤 문화든 고급 문화와 저변 문화가 같이 있지만, 한식을 너무 고급스럽게 포지셔닝하고 고위 인사에게만 접대한다면, 저변이 확대되는 것에 걸림돌이 될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일회적으로 먹는 것은 그냥 한국 전통 문화 즐기기 정도 수준일 뿐입니다. 일단 저변을 충분히 확대시킬 수 있는 정책을 우선 시도하면 당연히 고급 문화를 즐기고자 하는 계층이 생기게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아울러 먹어보는 것으로 그치지 않고, 세계적으로 보편성 있게 먹을 수 있는 음식을 개발해야 합니다. 또한 꼭 한국 사람이 아니더라도 음식을 조리할 수 있어야 하고, 그런 점에 대해서 거부감이 없어야 합니다. 파스타만 해도 우리나라 사람들이 얼마나 맛있게 잘 만듭니까? 그것처럼 외국에 나가면 파란 눈을 한 사람들도 한식을 잘 만들 수 있게 한식을 보급해야 하겠죠. 

비지니스 기회도 이런 맥락에서 연결되어야 합니다. 맥도날드나 타코벨처럼 한식을 조리할 수 있는 프랜차이즈를 만드는 것은 어떨까요?  간단하면서도 한끼 대용이 되는 방향에서 패스트 푸드 한식 프랜차이즈를 보급하는 것이죠. 

현재 BBQ나 교촌치킨 이런 곳에서 한국 특유의 양념치킨 같은 것을 보급하고는 있는데, 이 것 역시 외국 사람이 느끼기에는 가끔 먹는 별식 같은 개념인 듯 하고, 일식이나 베트남 음식처럼 식사 대용으로 느끼는 경우는 드문 것 같습니다. 

두번째로는 외국 음식의 한국화 혹은 glocalization 비지니스입니다. 아웃백 스테이크가 이를 잘 보여주고 있죠. 호주 것인데, 한국에서 더 대박나 있는. 특히나 우리나라에는 다양한 음식을 비교적 거부감 없이 받아들이기 때문에, 역수출하는 것 역시 가능합니다.

이제는 역수출 형태의 비지니스를 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되었는 것 같습니다. 오히려 외국 음식을 한국적 색채로 역수출하는 것이지요. 물론 음식이라는 것은 현지화와 더불어, 필수적으로 내수 시장 기반의 산업적 특성이 강하기 때문에, 한국에서 성공한 한국산 파스타가 일본에서 성공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닐 수 있습니다.

다만, 일본 기업이지만, 햄버거라는 서양식 패스트 푸드 프렌차이즈의 하나인 롯데리아가 한국에서 아주 성공했던 것처럼 (물론 성공을 한 이유에는 여러가지 요소가 복합적으로 있겠습니다만) 우리나라식 외국 음식 프렌차이즈는 충분히 시장성이 있습니다. 

6. 정유, 천연 가스 등 기간 산업

이건 지금도 우리 나라가 아주 잘 하고 있기 때문에 따로 언급할 필요가 없겠습니다만, 비지니스 기회라는 측면에서 다루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비지니스의 본질을 따지고 보면 "필요한 사람에게 적정 이윤을 붙이 필요한 것을 준다" 고 정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필요한 것을 구하거나(가공,무역, 수입 등), 만들어 내고(생산), 그 것을 필요한 사람(마케팅)에게 혹은 필요한 사람을 만들어 내서(수요 창출) 주면 됩니다. 그 때 필요한 사람은 가격과 서비스를 따지게 될 것이고, 그것이 어디서 왔는지는 큰 의미를 두지 않을 것입니다.

여기에 바로 사업의 묘가 있는 것이지요. 내가 만약 휘발류가 필요한 사람을 많이 알고 있다면, 굳이 내가 휘발류를 만들 필요는 없겠죠. 휘발류를 적당한 가격에 사서, 필요한 사람에게 적정 이윤을 붙여서 팔면 그에 따른 수익이 나옵니다. 도매와 소매를 생각하면 됩니다.

우리 나라는 이 걸 아주 잘하는 나라입니다. 원유를 사서 적절한 형태로 가공해서 필요한 곳에 잘 판매합니다. 우리 나라는 원유 가공-정제에 있어서는 최고의 선진국입니다. 

원유가 넘치는 중동 국가들- 사우디 아라비아, 이란, 이라크 등의 나라는 굳이 정제를 해서 판매할 이유가 없습니다. 왜나하면 아무 것도 하지 않고 원유를 판매해서 얻는 이윤은 아주 큰데 반해, 정제하고, 판매처를 확보하는 데에 들어가는 노력은 노력 대비 이윤이 많지 않기 때문이죠. 중동 국가들은 일종의 도매상인 셈이죠. 그래서 이런 나라들의 왕조나 기업들은 정제해서 판매하는 기업의 지분을 사들이거나 M&A하는 전략을 취하는 것이죠.

앞으로 원유 뿐만 아니라, 어떤 형태로든 자원 부국은 등장할 것입니다. 그런 자원 부국은 필연적으로 자원을 파는 것에 큰 일차적 이득이 있기 때문에, 가공과 정제에는 비교적 관심은 덜 할 것입니다. 그런 나라와 자원에 관심을 가져야 합니다. 만약 그 나라가 자원도 가지고 있으면서, 기술과 가공 정제 기술까지 관심가지고 있다면, 그 자원은 아주 큰 이득이 있지 않는 한 쉽게 상품화 되기 어려울 것입니다. 

그러니 대체로 이런 기간 산업에서 우리나라나 기업은 포지셔닝을 가공 쪽에 두는 것이 좋고, 그렇게 하기 위해서 기술에 올인하는 것이 좋겠죠. 



이 모든 비지니스에 대해서도 어디까지나 거시적으로 살펴본 것이기 때문에, 개별적으로는 분명 괴리가 있을 수 있겠죠. 

그리고 경험상, 아무리 잘 할 수 있다고 해도, 꼭 성공하는 것은 아니더군요. 성공한 기업들은 언제 어떤 경우에 아웃소싱할지 혹은 어떤 전략을 취할지 선택을 기가 막히게 잘 하더군요

글로벌화 역시 그런 맥락에서 접근해야 됩니다. 

FineQ_OJ

일본과 중국이 센카쿠 열도(댜오위다오) 때문에 한창 시끄럽군요. 현재 중국은 그 어느 때보다 강하게 반일 감정을 드러내면서 일본을 압박하고 있습니다. 

뭐 영토 문제는 항상 여러가지가 복합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해결이 쉽지는 않겠지만, 예전에 중국이 비슷한 상황에서, 희토류 수출을 완전 중단해 일본이 백기 투항한 전례를 볼 때, 이 번 역시 일본이 항복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독도 문제도 그렇지만, 일본 내각에서 올 연말에 있을 선거 때문에, 포퓰리즘적인 뻐꾸기(?)를 마구 마구 날리는 것 같습니다. "내부의 단합을 위해서 외부에 분란을 만들어야 한다"는 전통적인 일본 국수주의 전략으로 보여 집니다.(임진왜란 역시 그런 행위 중 하나로 해석 가능하죠). 

그 포퓰리즘 뻐꾸기로 인해 중국에 진출한 일본 기업들은 마른 하늘에 날벼락 같은 최악의 비지니스 상황을 맞이하게 되었고, 이 끝은 어찌될 지 모르겠습니다. 일본 정부가 손해 배상 청구한다고는 하는데, 오히려 불난 집에 부채질하는 꼴이 되지 않을까 싶은데요. 

여하튼, 일본과 중국의 영토 문제를 보면서 만약 우리가 중국이랑 담판 뜬다면... 이라는 가정을 해보니깐.. 역시 우리도 일본과 갈은 열세일 수밖에 없다는 생각을 하게 되더군요. 담판할 건더기가 북한과 서해 말고는 크게 없기 때문에 발생 가능성은 적지만. ^^ 그러면서 세계화라는 것에 대해서 고민해 보았습니다.

세계화는 정말 많이 들어본 말이고, 이제는 그리 낯선 용어는 아니니깐, 용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줄이고, 세계화에 따른 비지니스 기회에 대한 포스팅을 써 볼까 합니다. 현재 우리나라가 아주 잘하고 있는 분야이긴 하지만, 조금 더 잘했으면 하는 마음이 들기도 해서요. ^^

당장 제 주변만 해도 거의 대부분의 것들이 국산 메이커이긴 해도, 그 속을 들여다 보면, 중국, 말레이시아 등 다양한 나라에서 만들어진 것들이 많더군요. 

여러분께서도 의식하고 있진 않지만 주변을 보면서 생각해 보의외의 물건이 세계속에 연결되어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일단 제가 좋아하는 일을 하면서 보내는 일상의 목록을 말해 보도록 하죠. 

아침에 병원에 오면 모닝커피 한잔을 하는데, 이 때 마시는 원두이티오피아산이거나 콜럼비아산 혹은 남미 멕시코 어딘가 아님 아프리카 어딘가에서 생산된 것입니다. 아침부터 지구 반대편 멀리에 있는 사람의 손길이 닿은 제품으로 시작하게 되는 것이죠. 

원두를 갈때는 네델란드에 본사를 두고 있는 필립스 제품을 이용하는데, 이 것 역시 중국인 노동자나 말레이시아 노동자가 조립한 제품이 대부분이죠.  

그렇게 모닝커피를 마시고 나면, 컴퓨터를 켭니다. 맥을 이용할 때도 있고, PC를 이용할 때도 있는데, 이 안에 들어 있는 OSX나 Window는 미국에 있는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들에 의해서 만들어진 것이죠. 가끔씩 인도인들에게 아웃소싱을 주기도 하겠죠. 그리고 컴퓨터의 경우 부품마다 다르긴 하지만, 한국에서 만들어진 램이나, 대만에서 만들어진 램을 이용하겠죠. 또 하드디스크는 태국에서 만들어 졌을 것이고, 이 모든 부품은 중국인들이 껌을 씹으면서 조립된 것이겠죠.

영국에 본사를 둔 Nature에서 논문이 나오면, 아시아 총판이 있는 홍콩을 거쳐서 한국 도서관에 도착합니다. 인터넷에서 논문을 찾기 위해 컴퓨터를 켜서 pubmed에 접근 하면 더 세계화가 진행되어 있죠. 물론 제 분야에 국한된 이야기일 수도 있겠지만, 인터넷의 생활화에 따라 전세계 어디에서든 연구 결과가 공유되죠. 거기서 나온 논문 중, 프랑스 파리에 있는 파스퇴르 연구소에서 제시한 실험 모델을 이용해서, 세계적 결과를 낸 일본 그룹을 찾는 것은 그리 어려운 일이 아닙니다. 

점심을 먹으러 갈 때는, 다양한 메뉴에 또 한 번 놀랍니다. 이탈리아 음식 중 하나인 파스타, 호주 스테이크 아웃백, 베트남 쌀국수, 초밥과 같은 일식, 중국 음식처럼 위장한 중화요리(사실 중국엔 짜!장면이 없죠) 등등.  점심을 먹고 나선, 후식으로 또 다시 커피를 마시거나 베스킨라벤스 아이스크림을 먹곤 하죠.

일을 마치고 집에 갈 때 역시 세계화에 동참합니다. 두바이에서 거래된 사우디아라비아 원유를 정제 가공한 휘발류를 차에 넣어서 타고 다니거나, 인도네시아카타르, 오만에서 수입된 천연가스를 넣은 버스를 타고 퇴근합니다.  

집에서 저녁을 먹고, 프랑스칠레에서 수입된 와인을 마시거나, 스코틀랜드에서 만들어진 위스키를 얼음에 녹여 한잔하면서 피로를 풉니다. 친구들이랑 독일이나 벨기에에서 만든 맥주를 한 잔 하면서, 스페인 프리메라리가 경기 중 아르헨티나 출신인 메시가 있는 FC 바르셀로나와 포르투칼 출신의 호날두가 있는 레알 마드리드 축구 경기를 봅니다. 


물론 이런 일상들을 매일 같이 반복하진 않겠지만, 제 일상에서는 충분히 현존하는 일들입니다. 만약 세계화가 진행되어 있지 않다면 대부분의 일들을 쉽게 진행하긴 어려웠을 것입니다.

연구만 해도, 예전에는 논문 하나 얻는데만 한 달 정도를 보냈다고 하시니, 진정 한국은 세계화의 중심에 있긴 있습니다. 적어도 소비자로서는요. 

그런데, 이 모든 일들을 자세히 살펴보면, 새로운 비지니스 기회를 찾을 수 있을 것 입니다. 한국이라는 시장만 바라보면 시장이 가지는 파이가 작을 수 있지만, 애시당초 한국을 버리고 세계 시장을 바라보면 또 다른 기회가 보입니다.

위에서 언급한 일들 중 원유를 생산한다든지 하는 매립된 자원을 이용하는 일은 우리가 할 수 없는 일이지만, 이윤을 높여 그 것을 판매할 수 있는 일은 우리가 있습니다. 

이런 세계화라는 비지니스 기회 속에서 글로벌 스탠다드라는 옷을 입으면, 세계적인 기업이 탄생할 수 있을 것입니다. 물론 비지니스 그릇 크기가 태생적으로 작은 것들도 있습니다만, 조금 더 큰 눈으로 바라 보면 그 것 역시 새로운 니즈를 만들어내고, 세계화 흐름에 부응할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아래는 하나의 조크인데, globalization 하니깐 나오는 유머여서 같이 붙여 봅니다. 

영어로 된 것이긴 하지만, 세계화의 진정한 면모를 보여주는 글입니다. 

중국이 빠진 것이 조금 아쉽긴 하지만 세계화를 진정 포함하고 있는 유머더군요.


Finally, a definition of globalization that one can understand and to which we now can relate:

Question:

What is the truest definition of Globalization?

Answer:

Tragically, Princess Diana’s death.

Question:

Why?

Answer:

An English princess with an Egyptian boyfriend crashes in a French tunnel, driving a German car with a Dutch engine, driven by a Belgian who was drunk on Scottish whiskey, followed closely by Italian paparazzi on Japanese motorcycles; treated by an American doctor, using Brazilian medicines.

This is sent to you by an American, using Bill Gate’s technology and you are probably reading this on your computer, that uses Taiwanese chips and a Korean monitor, assembled by Bangladeshi workers in a Singapore plant; transported by Indian lorry-drivers, hijacked by Indonesians, unloaded by Sicilian longshoremen and trucked to you by illegal Mexican workers…

And that is what Globalization is.

~ source unknown ~




다음 포스팅에서 조금 더 세분화해서 산업에 대해서 글을 쓰도록 하겠습니다. 

+ Recent posts